-
Ubuntu 16.04에 Apache, MySQL, PHP 설치하기
Ubuntu 24.04용으로 수정한 것 사용할 것 Ubuntu 24.04에 APM 설치하기 Ubundu 16.04 기본 패키지에는 웹서버나 MySQL, PHP, FTP서버 등이 설치되어있지 않다.이번에는 이들 중 웹서비스와 관련된 서버를 설치해보자. 앞으로 서버 설정은 PuTTY(리눅스나 맥 사용자는 터미널)로 연결해서 작업을 한다. 일단 현재 상태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업그레이드할 게 있는지 확인해보고, 업그레이드까지 한다.지난번에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고, 추가한 사용자로 로그인해서 로케일을 설정했는데,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추가한 사용자로 작업을 한다(명령 입력하는 줄의 제일 앞에 있는 $ 표시는 터미널에 표시되는 프롬프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입력하는 부분이 아니다. $와 공백 하나를 제외한 부분만 입력하면 된다.). 위와 같이 하면 Ubuntu 서버의 소프트웨어 목록을 가져온다. apt-get update 명령으로 가져온 소프트웨어 목록과 비교해서 업그레이드할게 있는지 확인하고, 업그레이드 할게 있으면 표시한 후 사용자가 업그레이드하겠다고…
-
DigitalOcean VPS 서비스 알아보기와 가입하기
DigitalOcean은 VPS(가상사설서버, 가상머신)와 저장소 제공 서비스를 하고있다. http://www.digitalocean.com 위 사이트에 가서 Product를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팝업 메뉴가 나온다. 위 그림에서 위의 빨간 사각형에 있는 Droplets가 VPS 서비스이고, 아래의 Spaces는 저장소만 빌려주는 서비스이다.저장소만 빌려주는 서비스는 이미지호스팅 같은 개념인 것 같다.여기서 이용할 서비스는 위의 Droplets인데, 처음에 이 사이트에 와서 메뉴를 보면서 도대체 뭐가뭔지 알 수가 없었다.분명 VPS 서비스가 된다는 검색 결과를 클릭해서 사이트에 왔는데 VPS라는 말은 어디에도 안보이고, Droplets라니…하여튼…눌러서 내용을 대충 읽어보니 이게 VPS란다(전 서버가 SSD를 사용한다).옆에 Pricing을 누르면 서비스 가격표가 나온다. 월 이용료가 최저 5달러부터 최대 960달러까지 가용 자원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다.난 블로그를 쓸거니까 월 5달러짜리면 충분할 것 같다.월 5달러라도 SSD를 25GB나 주고, CPU core 1개에 램 1GB를 보장하며, 월 트래픽…
-
DigitalOcean VPS 이용하기 글을 써보자
2007년 처음 블로그를 시작할 때 비누넷(연 1만원대)을 이용하다가 2012년부터 라온넷의 아나바다 프리미엄형(연 26,400원)을 이용해서 텍스트큐브로 유지해왔다. 라온넷 프리미엄형이 HDD 3GB에 DB 300MB, 일일 트래픽 5GB라서 블로그 – 트래픽이 많지는 않아서 이정도로도 충분하긴 하다 – 로 이용하는데 불편한점은 없었고, 위의 용량 내에서 도메인을 9개를 붙여서 총 3개의 사이트를 운용할 수 있다.shrimp.pe.kr과 shrimp.kr을 등록해서 블로그를 썼었다. 그런데 문제는 텍스트큐브. 텍스트큐브가 2016년까지 계속 업그레이드 되면서 2.0 베타버전 두 번째까지 나온 이후로 2년가까이 어떤 업그레이드도, 상황 설명도 없이 소식이 아예 끊어졌다.안정버전인 1.10.10을 설치해서 계속 써왔다.하지만 플러그인이나 테마 등의 신규 등록도 없고, 새로운 기능들도 추가돼야 하는데 그런 것도 안되고하다보니 좀 식상한다고 할까? 아무튼 새로운 전기가 필요했다.몇 년 전에도 워드프레스로 옮기려고 한동안 이것저것 하다가 포기하고 그냥…
-
안드로이드, 리눅스에 아두이노까지 집어넣은 보드…
안드로이드와 리눅스를 돌릴 수 있는 임베디드 보드들이 요즘 많이 나와있다. 여기에 최근 뜨고 있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인 아두이노까지 집어넣은 임베디드 보드가 나왔다. 보드 이름은 유두(영어 udoo)…쩝…이상하다. ㅎㅎ 자세한 정보는 http://www.udoo.org에서 찾을 수 있으며, 아직 출시되지는 않았고, 현재(2013.6.6) 펀딩중 인 것 같다. 웬지 모르게 하나 가져다 놀고싶어진다.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툴인 스케치는 http://arduino.cc/en/Tutorial/Sketch에서 받을 수 있다.
-
스마트폰용 우분투 리눅스 시연 동영상
우분투 리눅스 스마트폰 버전이 나온단다.
-
Ultra ISO로 리눅스 부팅 USB 메모리 만들기
아래 내용으로 하니까 초기 부팅은 되는데…리눅스 부팅을 못한다. 뭔가 다른 조치를 취해야 되나보다. 일단은 https://www.shrimp.pe.kr/blog/986 이나 http://unetbootin.sourceforge.net/ 의 글을 이용해서 부팅 USB를 만들어야 되겠다. Ultra ISO에서 리눅스 부팅용 USB 메모리를 만들려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리눅스 ISO 이미지를 불러온다. 이미지에 ‘부팅 가능’이라 표시된다.메뉴의 부팅 -> 디스크 이미지 기록을 선택한다.디스크 드라이브에는 기록할 USB를 선택하고, 기록 방법은 ‘USB-HDD+’와 ‘Xpress Boot’를 선택한다. <형식> 버튼을 누르면 USB 메모리를 포맷할 수 있고, <쓰기> 버튼을 누르면 USB 메모리에 기록을 시작한다.위에서 <형식> 버튼을 누르면 포맷 대화상자가 나온다.포맷이나 쓰기를 하면 나오는 데이터 다 날아간다는 경고 메시지.<예> 버튼을 누르면 기록을 시작한다.기록 완료.이제 컴을 재부팅하면 USB 메모리로 부팅할 수 있다.부팅할 때는 USB 메모리로 부팅할 수 있도록 부팅 순서를 정해야 된다.
-
유닉스, 리눅스 국내 미러 사이트
다음 커뮤니케이션 ftp://ftp.daum.net/ 카이스트 대학교 ftp://ftp.kaist.ac.kr 세이클럽 ftp://ftp.sayclub.com/pub/
-
[펌] 리눅스 CVS 설치
[펌] 리눅스 CVS 설치 1. CVS에 대한 소개 과거는 컴퓨터 시스템의 능력이 매우 제한적이였고 사용하는 유저 역시 제한적이거나 지극히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였다. 때문에 소프트웨어역시 비교적 단순했으며 단지 한두명의 개발자 투입만으로도 꽤나 쓸만한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도스 시절부터 컴퓨터를 다루어왔던 유저라면 “누구누구의 어떤 프로그램” 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지금은 사정이 달라져서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이 아니고서는 혼자 개발해서 그럭저럭 인지도 있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는것 자체가 매우 힘들어졌다. 요즘은 UI만 제작하는 것도 하나의 작업으로 분류된다. 인터넷이 일반적으로 보급되면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C/S환경하에서 작동하게 된다. 개발자는 데이터전송과 처리에 대한 부분까지 신경써야 하며 많은 경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다른 운영체제하에 놓이며, 특히 서버 프로그램의 경우 여러가지의 전혀 달라보이는 운영체제를 지원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
우분투리눅스에서 ATi 그래픽카드 설정하기
우선 gedit로 /etc/X11/xorg.conf 파일의 맨 마지막에 다음을 추가한다. $ sudo gedit /etc/X11/xorg.conf Section “Extensions” Option “Composite” “0” EndSection 다음 ATi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linux-restricted-modules-$(uname -r) $ sudo apt-get install xorg-driver-fglrx $ sudo depmod -a $ sudo aticonfig –initial $ sudo aticonfig –overlay-type=Xv aticonfig –initial 명령은 /etc/X11/xorg.conf에서 “Device” 섹션에서 “ati”를 “fglrx”로 고치는 것이다. 이제 재부팅하고 3D 확인하면 된다. 그래픽카드의 3D 확인 방법 $ glxinfo | grep direct
-
우분투리눅스에서 GRUB 설정하기
수정할 파일 : /boot/grub/menu.lst – menu.lst 파일에서 리눅스보다 위쪽에 윈도우 부팅 리스트를 추가한다. 자세한 수정 방법은 리눅스에서 GRUB 설정하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