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방역을 사회적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변경
생활방역으로 전환한다고 끝난 것이 아니다.항상 조심하고, 마스크를 쓰고,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은 피하자. 지난 1월 21일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후 확진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적극적인 사회적거리두기를 시행해왔다.사회적거리두기에 따라서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공연이나 실내행사 등이 거의 취소되었고, 사업장에 확진자가 한 명이라도 생기면 그 사업장 전체를 며칠씩 폐쇄하여 소독을 하면서 경제활동이 상당히 위축되었고, IMF나 많은 경제단체들이 올해의 한국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기까지 했다.물론 다른 나라들의 성장률이 훨씬 많이 폭락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에 비하면 하락률이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3월 말부터 확진자가 점차 줄어들다가 4월 중순부터는 하루 10여명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이런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방역수준을 좀더 여유있게 풀어 생활방역체제로 전환하기로 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
우분투에서 키보드 입력 지연시간 조절하기
이전 우분투에서는 설정에 들어가면 키보드 재입력 지연시간과 반복횟수를 지정할 수 있었는데, 오늘 우분투 20.4 LTS 설치하고보니 설정에서 키보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가 없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니…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쓸 수 있다(두 방법 모두 터미널에서 해야되며, 루트권한은 필요없는 것으로 보인다. 루트권한 없이 설정한 경우에 재부팅했을 때 계속 유지되는지는 모르겠다). 1. xset을 이용하는 방법 위에서 rate 뒤에 첫 번째 숫자는 키를 누르고 있을 때 첫 글자가 입력된 후 두 번째 글자가 입력되기까지의 지연시간을 뜻하며, mS 단위로 표시한다. 위의 예에서는 250mS 즉 1/4초 후에 두번째 글자가 입력된다.두 번째 숫자는 반복되는 키입력을 인식하는 지연시간으로 mS 단위로 표시한다. 위의 예에서는 30mS마다 키를 입력한다. 즉 1초에 33번 키 입력이 된다. (수정) 1초…
-
아마존 가격 변화…이게 실화?
아마존은 가격이 수시로 변화한다. 장바구니에 넣어서 보관을 해두면 가격이 변할 때마다 변화된 가격을 표시해준다. 그러면 그 가격을 보고 원하는 가격이 되면 구입하는 방법을 많이 쓴다. 그런데 오늘 아마존 독일에서 장바구니를 확인하다보니…한 물건의 가격 변동을 보니 진짜 해도해도 너무한 가격변화를 보였다. 한때 뽐뿌에서 인기있던 AEG HK634250이란 모델의 인덕션 가격이 300유로에서 갑자기 856유로로 올라갔다. 혹시나 해서 아마존 셀러가 빠지고 일반 셀러가 올린 가격인가 하고 가격 변화그래프를 확인해봤다(아래 그래프는 파이어폭스나 크롬에서 keepa 부가기능을 설치하면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파이어폭스와 크롬용 아마존 가격 트래커 부가기능 살펴보기에서 볼 수 있다). 보다시피 주황색으로 표시된 아마존셀러의 가격이다. 300유로짜리를 856유로로 3배가까이 올리는 패기. 이게 가격오류인지 진짜 물건 수급에 문제가 생겨 가격이 오른건지 모르겠지만, 마스크나 체온계라면 이해할 수…
-
의료진 덕분에…고맙습니다.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시작해 한국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1월 22일부터 지금까지 만명을 약간 웃도는 확진자가 나왔다. 이들 중 일부는 안타깝게도 사망했지만 의료진들의 희생적인 치료/간호로 확진자 대비 70%가 넘는 완치율을 나타내고 있다. 의료진들은 자신이 감염될 위험이 있는 것을 알면서도, 또한 가족과 마음대로 만나지도 못하면서도 불편한 복장과 장비를 착용하고 묵묵히 확진자를 돌보고 있다. 이에 많은 국민들이 의료진과 방역담당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 있으며, 나도 이에 동참하고자 한다. 의료진 및 방역담당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 위 이미지는 보건복지부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의료진덕분에#덕분에챌린지#덕분에캠페인
-
코로나-19 일일발생현황 (2020.1.20 ~ 2020.12.31)
☞☞☞ 2020년 1월 20일 ~ 2020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1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날짜 일일 확진자 일일 사망자 일일 해제자 누적 확진자 누적 사망자 일일 검사수 전년 누적 0명 0명 – – 2020-01-16 0명 0명 – – 0명 0명 – – 2020-01-17 0명 0명 – – 0명 0명 – – 2020-01-18 0명 0명 – – 0명 0명 – – 2020-01-19 0명 0명 – – 0명 0명 – – 2020-01-20 1명 0명 – – 1명 0명 – – 2020-01-21 0명…
-
새벽의 날벼락 – 카드 도용
4월 6일 월요일 새벽 3시가 조금 안된 시각, 자는데 갑자기 아내의 폰이 울렸다. 아내가 잠결에 그냥 전화를 끊었는데…끊자마자 이상해서 폰을 보니 문자가 와 있다. 문자를 보니 이용이 일시제한되었다고 고객보호센터로 전화하란다. 이 전화번호로는 처음으로 온 메시지라서 피싱이 아닌가 전화번호가 의심스럽게 생각됐다. 그래서 다른 문자가 또 있나 봤더니 삼성카드 사용문자를 받던 번호로도 2천달러가 넘는 승인 문자가 와있었다. 사용처는 Lenovo Group. 뽐뿌에서 봤던 카드도용 패턴은 적은 금액을 여러번 결제하는게 많았던 것 같은데 이건 대놓고 첫 결제를 2273달러나 해댔다. 이러니까 카드사에 해외부정사용에 바로 걸린거겠지. 정신이 번쩍들어 일단 카드를 보고 분실신고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혹시라도 문자 받는 폰에 뭔가 설치되서 장난질을 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내 폰으로 전화를 걸었다. 상담사가 친절하게 분실신고처리를 해주고 카드도 재발급신청까지…
-
Apache에 SSL 설정하기
우분투에 아파치, PHP7, MySQL을 설치하고 SSL을 적용하다보니 할게 많기도 하고, 잘 모르니 하는 것도 어렵고…글로 남겨본다. 1. letsencrypt 인증서 받기 아래의 명령으로 우분투에 letsencrypt 패키지를 설치한다. 이 패키지가 기본 설치프로그램인 경우도 있으므로 이미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패키지 설치 후 아래의 명령으로 원하는 도메인명을 다 추가해서 인증서를 받는다. 프로세스가 진행되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기한이 되면 연락받을 수 있는 메일주소를 입력한다. 그 후 물어보는게 두 가지 있는데, 첫번째에는 Y를 입력해야 인증서가 발급되고, 두번째는 선택사항이라 N을 입력해도 된다. 인증파일은 cert.pem, chain.pem, fullchain.pem, private.pem 파일이며, /etc/letsencrypt/live/서버명 폴더에 저장된다. 이 중 Apache2 서버에서는 cert.pem, chain.pem, privkey.pem 을 사용한다. 2. 아파치 설정하기 vi나 nano 등의 에디터를 이용해서 /etc/apache2/sites-available에 있는 아파치의 설정 파일 중 위에서…
-
All-in-One WP Migration 가져오기 용량 제한 풀기
워드프레스에서 쓸 수 있는 백업/복구 툴 중 All-in-One WP Migration이라는 플러그인이 있다. 이 플러그인을 쓰면 간단하게 나의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백업하고, 다시 복구할 수 있다. 하지만, 백업은 마음대로 할 수 있어도 그걸 복구하는 건 제약이 따른다. 가장 근본적인 제약은 백업은 여러번 되는데, 백업한 것을 다시 복원하려며 프리미엄 버전을 설치해야 하며, 그걸 설치하려면 최소 69달러를 내야 된다. 또한 다른 서버로 이주를 위해 사이트 내보내기도 제한없이 할 수 있는데, 옮기려는 사이트에서 가져오기를 하려면 백업파일 최대 용량이 512MB로 제한이 되며, 이 제한을 풀려면 프리미엄 버전을 설치해야 된다. 블로그같은 경우 워드프레스를 한 번 설치해놓고 그대로 쓰는거라서 백업/복원을 수시로 하는 것도 아니고, 몇 년에 한 번이나 이 플러그인을 쓸까말까 할 정도로 급한 경우에 어쩌다 한 번…
-
자동차보험 본인부담금에 대한 영상
자동차보험 가입시 자차 본인부담금을 20~100만원까지 설정할 수 있다. 즉 사고가 났을 경우 내가 일부라도 과실이 있을 경우 본인부담금을 내고 자차 수리를 보험으로 처리하는 제도이다. 이 본인부담금과 관련해서 지금까지 몰랐지만 꼭 알아야 할 내용이라서 한문철변호사의 영상을 공유해본다. 잘 기억해서 본인부담금을 손해보지 않도록 하자. 중요한건 상법 682조 1항과 2015년 1월 22일의 대법원판례 2014다 46211.
-
미국 아마존 페이지 내비게이션 변경인가?
미국 아마존에 접속하면 아래 그림처럼 항상 위쪽 내비게이션 메뉴에 Today’s Deals라는 메뉴가 나타났었다. 분명히 그저께까지는 내비게이션 메뉴에 Today’s Deals가 있었고, 쭉 확인도 했었다. 그런데 어제 접속해서 Today’s Deals를 보려고 했지만, 아래 그림처럼 메뉴가 없어져서 볼 수가 없었다. 아무런 예고도 없이 갑자기 메뉴가 바뀌고 많이 보던 메뉴가 없어지다니… 뭐…일단 사라졌으니 그거야 할 수 없지만, 음. 이전 접속 기록을 뒤져보니 오늘의 딜 페이지를 접속했던 기록이 나왔고, 그걸 눌러보니 이전과 같은 익숙한 화면이 나온다. 오늘의 딜로 가기 이게 메뉴 완전 개편인지 일시적 변경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링크로 들어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