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스키 코드표
컴퓨터에서 정보 교환용으로 사용되는 코드로 지금은 유니코드가 표준이지만 유니코드가 나오기 전에는 여러 가지 코드가 혼재돼서 사용되었다. 그 중 아스키코드가 거의 표준 코드로 사용되었으며, 유니코드에도 아스키코드가 0x0001~0x00ff까지를 채우고 있다. 10진수 16진수 문자 10진수 16진수 문자 10진수 16진수 문자 10진수 16진수 문자 0 0x00 NUL 32 0x20 Space 64 0x40 @ 96 0x60 ` 1 0x01 SOH 33 0x21 ! 65 0x41 A 97 0x61 a 2 0x02 STX 34 0x22 “ 66 0x42 B 98 0x62 b 3 0x03 ETX 35 0x23 # 67 0x43 C 99 0x63 c 4 0x04 EOT 36 0x24 $ 68 0x44 D 100 0x64 d 5 0x05 ENQ 37 0x25 % 69 0x45 E 101…
-
윈도우 명령프롬프트(터미널) 코드페이지 설정
2024년 8월 31일 추가 regedit을 열고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ls\CodePage의 ACP, MACCP, OEMCP중 949로 설정된 값을 모두 65001로 변경 ** 한글이 들어간 프로그램의 경우 코드가 변경되면서 알아볼 수 없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 윈도우 한글버전이나 한글화 한 윈도우의 경우 명령프롬프트를 열면 기본 코드페이지가 949로 되어있다. 코드페이지 949는 완성형 확장한글 코드페이지이다. 완성형 확장한글은 유니코드가 나오기 전인 윈도우 3.1부터 사용되던 코드로 완성형 한글 2350자를 쓸 수 있는 코드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완성형 확장한글 2350자 뿐 아니라 유니코드에 지정된 11172자를 다 쓸 수도 있는데, 이때는 코드페이지를 65001로 설정하면 된다. 코드페이지를 설정하는 명령은 chcp이며, chcp 다음에 원하는 코드페이지를 입력하면된다. 또는 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명령프롬프트의 기본 코드페이지가 949(완성형 확장한글)로 되어있어서 명령프롬프트를 열 때마다 chcp 65001을 입력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