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MI MF855와 MF885 비교
지금 쓰고있는 태블릿 ZTE K92 Primetime이 지원하는 LTE 주파수가 B1, B2, B4, B5, B7인데 이 중에서 KT에서 지원되는 주파수는 보조주파수인 B1(2.1Ghz)뿐이라서 지역에 따라서 지원되는 곳도 있고 안되는 곳도 있다.집이 있는 일산지역은 그래도 잘 되는편인데, 회사가 있는 파주 탄현면에서는 아예 안되고, 둘째가 있는 전주를 가다보면 고속도로에서도 통신이 끊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다. K92를 내비로 쓰고, 앱을 통해서 라디오를 재생하면서 그 소리를 카 오디오와 연결해서 쓰는데 다니다보면 LTE가 안잡혀서 내비와 라디오가 먹통이 될 때가 많다.이런때가 불편해서 아예 핸드폰 핫스팟을 켜고 K92를 핫스팟에 연결해서 썼는데, 무선충전을 하면서 핫스팟 켜고, OBD 연결앱을 켜놓으면 무선충전이 배터리 소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그래도 그냥저냥 쓰긴했는데…역시 불편하긴하다. 그러다 알게 된게 ZMI MF855였고, 상위모델로 MF885가 있는 것도 알게 됐으며, 얼마전에…
-
알리에서 LTE Wifi Router를 샀는데…
지난 2월 10일 알리에서 Alcatel W800z 4G LTE Wifi Router을 구입했다. 이걸 15일에 발송해서 25일에 받았다.15일만에 도착했으니 정말 빠르게 왔는데…W800z가 아니라 화웨이의 3G HSDPA 모뎀인 E220이 왔다. 42.88달러나 주고 샀는데, 온건 15.50달러짜리라니… 바로 판매자에게 메시지를 보내서 환불해달라고 했는데 어찌될지… ——————– 추가 : 환불 메시지를 보냈더니 사진을 올려달란다.일단 사진 찍어서 보냄.
-
국내 LTE 주파수 밴드 할당 현황
국내 LTE 주파수 밴드 할당 현황 (2015년 9월 현재)SKT : B5 (850Mhz, 주력 20Mhz), B3 (1.8Ghz, 보조 35Mhz), B1 (2.1Ghz, 보조 20Mhz) – 총 75MhzKT : B3 (1.8Ghz, 주력 35Mhz), B8 (900Mhz, 보조 20Mhz), B1 (2.1Ghz, 보조 20Mhz)) – 총 75Mhz(밴드 26의 10Mhz는 안쓰는 상태)LG U+ : B5 (850Mhz, 주력 20Mhz), B1 (2.1Ghz, 보조 20Mhz), B7 (2.6Ghz, 보조 40Mhz) – 총 80Mhz 방식 대역번호 대역명칭 상향링크주파수(㎒) 하향링크주파수(㎒) 국내 통신사 FDD B1 2.1Ghz 대역 1920-1980 2110-2170 SKT(20Mhz)KT(20Mhz)LG U+(20Mhz) B2 1850-1910 1930-1990 B3 1.8Ghz 대역 1710-1785 1805-1880 SKT(보조 35Mhz)KT(주력 35Mhz) B4 1710-1755 2110-2155 B5 850Mhz 대역 824-849 869-894 SKT(주력 20Mhz)LG U+(주력 20Mhz)…
-
LG U+, KT, SKT 모두 LTE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출시
LG U+가 제일 먼저 무제한 데이터 LTE 요금제를 출시한 이후 바로 다음날 KT가, 그리고 이어서 SKT까지도 동참했다. 각 통신사별 주요 내용을 보자. 먼저 처음으로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한 LG U+. LG U+는 요금제를 세 개 추가하면서 추가한 요금제에 대해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음 일단 LTE 무한자유95 이상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된다. 다음은 KT. kT도 새로운 요금제를 추가하고 그 요금제에 재해서만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KT는 LG U+가 치고나가니까 그대로 따라했나보다.요금제도 똑같이 신설하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도 동일하다.완전 복제품. ㅎㅎ 마지막으로 SKT. SKT는 새로운 요금제를 하나 추가하고, 그 요금제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한다. 사실 이런 무제한 요금제는 사용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지 모르겠다.통화량이나 문자가 모자라서 이들 상위 요금제를 선택하는 사람은 있어도 데이터때문에 선택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
방송통신위, 1.8Ghz 및 2.6Ghz 대역의 주파수 LTE에 추가 할당
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동통신용 주파수 할당계획을 의결했다. 이는 LTE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LTE 주파수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요구에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1.8GHz의 경우 기존에 군용 등의 공용 주파수로 사용되었지만 일부 대역을 제외하고 할당하는 것이며, 2.6Ghz의 경우 위성 DMB 종료로 인해 재경매에 들어가는 것이다. 방통위는 2013년에 1.8Ghz와 2.6Ghz 대역을 할당하고, 2014년에는 700mhz 등의 할당 가능한 주파수를 할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현재 SKT/KT가 서비스 중인 1.8Ghz 대역의 경우 내년에 60Mhz를 더 내놓기로 해 광대역(단방향 20Mhz) LTE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한다. 현재 SKT와 KT는 1.8Ghz 대역에 상하향 10Mhz(총 20Mhz) 대역을 가지고 있는데, 추가 경매에 따라 상하향 20Mhz(총 40Mhz)로 확장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테이크 LTE 통화관련 업그레이드…(10월 28일)
-
애플 새로운 아이폰 iPhone5 발표
애플의 새로운 아이폰인 iPhone5가 우리 시간으로 9월 13일 새벽(현지 시간 9월 12일)에 발표되었다. 그 동안 루머로 여러 가지 말이 많았는데 화면 크기나 해상도, 카메라 화소 수, 두께, 무게, 모양 등이 루머로 나온 것과 거의 일치하는 것 같다. iPhone5의 규격은 아래와 같다(http://www.apple.com/iphone/specs.html) LTE를 지원하기 위해서 iPhone5는 세 가지 모델(A1428/GSM, A1429/CDMA. A1429/GSM)로 나온단다. 이 중 A1429/GSM이 SKT와 KT의 주파수와 같다고… LG U+는 3G가 달라서 아예 지원하지 않는다. 아래는 iPhone5에서 지원하는 LTE 대역들(http://www.apple.com/iphone/LTE/) SKT와 KT에서 출시된다는 사실은 이 두 회사의 트위터 트윗에서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