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

    LG FullHD 스마트폰 옵티머스 G Pro 발표

    팬택의 베가 No.6가 국내 스마트폰 중 처음으로 FullHD로 출시된 이후 LG에서도 FullHD 스마트폰을 출시한다. 옵티머스 G Pro라는 이름의 스마트폰으로 5.5인치 FullHD IPS LCD를 장착했다. 사양은 다음과 같다. 모델명 LG-F240S/K/U(옵티머스 G Pro) 프로세서 1.7Ghz 쿼드코어(퀄컴스냅드래곤 600) 디스플레이 5.5″ IPS LCD 화면 해상도 FullHD 1920 x 1080 (16:9) OS 안드로이드 4.1 JellyBean 내장메모리 32GB(cloud 16GB 제공) 외장메모리 64GB까지 지원 램 2GB 카메라 화소(후면/전면) 1,300만/210만 통신방식 3G/4G LTE 무선랜 802.11a/b/g/n(2.4Ghz, 5Ghz) 기타 지상파 DMB, NFC, Bluetooth 4.0,SlimPort(HDMI), GPS,조도/근접/자이로/가속도/지자기센서 컬러 인디고 블랙/루나 화이트 크기 150.2 x 76.1 x 9.4 mm 무게 172g 배터리 3,140mAh 교체형 국내 출시 2013년 2월 중 통신사 SKT, KT, LG U+ 출고가 968,000원 베가 No.6가 딱 탐났는데…바로 옵티머스 G Pro가…

  • 모바일

    베가 No.6 사용 팁

    블루스크린 버그 확인하기 데스크탑 모드로 인터넷 하시고 전체화면(소프트키 숨김) 후 가로 모드 (베가 로고가 왼쪽)에서 인디케이터 내리면 블루스크린 이네요. 원문 링크 :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1508385 베가 No6 히든메뉴

  • 사는이야기

    작년 올림픽에서 박종우에게 유보된 동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

    작년 런던올림픽 당시 대한민국 축구는 3위를 차지했다.3위를 결정하는 경기(한국:일본)에서 승리 한 직후 승리의 세리머니를 하는 도중에 박종우가 관중석에서 ‘독도는 한국땅’이라고 쓰인 피켓을 받아들고 기쁨을 나눴는데…그게 문제가 되었었다.순수한 스포츠 행사에 정치적인 행동을 했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로 동메달 수여가 보류되었고, 2게임 출장 정지의 벌칙도 받았다.지난 몇 개월간의 심사를 거쳐 며칠 전 박종우의 소명을 받았으며, 그 결과가 나온 것이다.최종 결과는 박종우에게 경고를 하고, 동메달은 수여하기로 한 것이다.당연한 사실을 알린 것 뿐이라서 문제될 것도 아닌데…이것 때문에 동메달 박탈의 위협까지 받았다는게 이상할 뿐이다. 어쨋든 좋은 결과가 나와서 다행이긴 한…

  • 사는이야기

    올림픽에서 레슬링이 사라진단다

    레슬링이 올림픽에 들어간 것은 근대 올림픽이 시작된 1회 올림픽부터다.물론 고대 올림픽에도 있던 종목이다.그런데 오늘 있었던 IOC 집행위원회에서 퇴출이 결정되었단다.2016년 올림픽(브라질의 리우)까지 정식 종목으로 치러지고, 2020년부터는 올림픽에서 사라지게 된다.레슬링이 퇴출되면서 태권도는 25개의 핵심 종목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물론 태권도가 남은 것은 다행이지만,레슬링이 퇴출된 이유가 레슬링 실력의 평준화로 경기가 재미없게 된 것이라는데…실력 평준화된게 문제라면 다른 요소를 추가하거나 규칙을 조금 바꿔서 재미와 긴장감을 추가해야 되는데 그냥 퇴출이라니!집행위원들이 서유럽쪽이 많은데, 레슬링은 그쪽이 약하고, 동유럽이나 서아시아쪽이 강하다보니 자기들에게 별 도움이 안되서 밀려난 게 아닌가하는 의심이 든다. 역시 여기나 저기나 다 정치판. ㅎㅎ

  • 사는이야기

    설 명절에 어머니께서 손목에 골절상을…

    설이라고 부모님댁에 가서 명절 음식 준비를 거의 끝내가던 때…어머니께서 필요한 물건이 있다고 이마트에 가시다가 길에서 넘어지셨다.다른 곳을 다치지는 않은 것 같고, 아프지도 않으시다는데 손목을 움직이지 못하신다.바로 일산병원으로 모시고 가서 검사를 해보니 손목이 부러졌단다.일단 뼈를 맞추고 기브스를 하고 집으로 돌아왔는데…이번에는 뼈를 맞추는 과정에서 아픈 너무 충격이 컸는지 속이 울렁거린다며 아무 것도 잡수지도 못하고 토하기까지…하룻밤이 지나고도 계속 불편해하셔서 다시 백병원 응급실에 가서 영양제를 맞고 왔다.그 뒤로 조금씩 괜찮아지는 것 같기는 한데 이틀이 지났어도 아직 속이 불편한 것 같다. 이 시점에 일산병원 성토나 해야겠다. 전에 막내가 머리를 다쳤을 때도일산병원 응급실에 가서 30여분을 기다리기만 하다가 백병원으로 갔던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별로 다르지 않은 상황에 처했다. 병원에 도착해서 접수한 시각이 2시 12분.환자 대기실에서 한참을 기다려서…

  • 모바일

    Slide-to-unlock은 애플이 발명한 것이 아니다?

    애플이 삼성과의 특허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특허들 중 하나인 ‘slide-to-unlock(밀어서 잠금 해제)’가 애플이 처음 특허 등록한 게 아니라 마이크론이 애플보다 4년 이나 전에 출원했던 것이란다. 마이크론이 2000년에 출원했던 특허가 며칠 전에 등록되었다는 기사가 나왔다.애플은 2004년에 출원해서 등록이 된 것이었는데, 애플보다 4년 먼저 출원해서 등록이 되었으니 애플의 특허는 무효가 될 가능성이 높다.또한 삼성은 마이크론과 상호 특허 라이센스를 맺고 있어서 이 특허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기사 출처 : http://www.patentlyo.com/patent/2013/01/smartphone-wars-microns-slide-to-unlock-patent.html 참 특허 전쟁이 재미있게 흘러가고 있다. ^^

  • 프로그래밍

    ActionBarSherlock를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

    바로 아래 글에 이어 ActionBarSherlock를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탭을 3개로 했을 때 필요한 소스 파일은 총 5개. 각 파일을 위와 같이 준비하고 필요한 리소스 파일(각 탭에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레이아웃 파일 – simple.xml – 과 아이콘 부분에 들어갈 아이콘으로 icon_search.png와 icon_settings.png가 필요하다)을 적당한 폴더에 넣고 실행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탭으로 구분된 실행화면이 나타난다.

  • 프로그래밍

    안드로이드 3.0 미만에서도 ActionBar를 써보자

    안드로이드 3.0부터는 ActionBar가 들어갔고, SDK에도 안드로이드 3.0에 해당하는 API 레벨 11부터 ActionBar를 처리할 수 있는 API가 들어가있다. 요즘 앱의 추세가 ActionBar를 대부분 이용하고 있으며, ActionBar를 이용하면 더 다양한 효과 및 처리가 가능해서 많이 선호하는 것 같다. 그런데 앱을 만들 때 ActionBar를 이용하면 안드로이드 3.0 이전 버전에서는 실행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아직도 전세계(국내도 마찬가지) 안드로이드 기기 사용자 중 안드로이드 3.0 미만 버전의 기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50%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즉, ActionBar를 이용해서 앱을 만들면 이들은 아예 사용하지 말라는 말이 되는 것이다.하지만 방법이 있었다.바로 ActionBarSherlock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ActionBar와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 안드로이드 3.0 미만의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쓸 수 있다.ActionBarSherlock는 ActionBarSherlock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예제 소스 및 컴파일 된…

  • 사는이야기

    나로호 3차 발사 및 위성 궤도 안착

    한국형 우주발사체(이름은 한국형 우주발사체인데…1단 로켓이 러시아 완제품인게 에러)인 KSLV-I 나로호 발사가 어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어제 오후 4시 굉음과 불꽃늘 내뿜으며 외나로도 발사장을 박차고 올라간 나로호는 발사 3분 35초 뒤 페이링이 분리되고, 약 6분 뒤 1단 로켓과 2단 로켓이 분리되었다. 7분이 조금 지나 목표 궤도이 진입했고, 약 1분이 지나서 2단 로켓과 위성이 분리되었으며, 발사 후 11분 경 나로호의 발사가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까지는 발사장에서 통제 및 확인이 가능한 범위였고, 발사 1시간 40분이 지난 뒤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에서 위성이 발신하는 비콘 신호를 받아서 1차적인 성공을 확인했고, 최종적으로 오늘 새벽 3시 28분에 대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 교신에 성공해서 성공이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