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는이야기

    20대 대선 투표 완료

    20대 대선 투표를 하고 왔다. 아내와 나 모두 확진자라서 낮에 할 수 없어 확진자 투표 시간대인 6시 이후에 다녀왔다. 5시 55분쯤 나가서 투표소에 들어가니 일반 투표는 이미 끝났고, 확진자 격리자 투표를 하고 있었다.앞에 4~5명 있었고, 그 사람들 뒤에서 거의 대기없이 바로 투표를 했다.요 며칠사이에 확진/격리자가 너무 많아서(백만명이 넘는다) 한참 기다리는거 아닌가 걱정아닌 걱정을 했는데 투표소가 워낙 많고(만4천군데), 투표할 수 있는 시간대도 한시간 반이나 되서 분산이 되는 것 같다.

  • 사는이야기

    이게 정치인가? 참 어이없는…

    이번 대선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정의당 심상정, 국민의당 안철수 등 주요 4개의 당에서 한 명씩의 후보가 출마했다.각 후보들은 자기가 최적의 후보임을 주장하면서 자기를 뽑아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중 윤석열과 안철수는 몇 주 전부터 여러 번 단일화를 위한 협상을 했으며, 그때마다 협상이 결렬돼서 서로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다고 했었다. 또한 안철수 선거 유세용 차량의 기사가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을 때에는 안철수가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끝까지 완주하겠다’고 했었다.그 사고로 인해 안철수가 장례식장에 있는 동안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유세버스 기사가 무슨 유서를 써놓고 간 것도 아닌데 유지는 무슨 유지냐’라며 비난 한 것도 보았는데…또 며칠 전에는 안철수가 직접 자기 입으로 ‘투표에서 윤석열을 찍으면 1년 뒤 손가락을 자르고 싶을 것’이라며 윤석열을 욕했는데… 며칠 전, 단일화…

  • 프로그래밍

    안드로이드 버전과 SDK 레벨

    버전 버전명 API 레벨 Android 1.0 Base 1 Android 1.1 Base 2 Android 1.5 Cup Cake 3 Android 1.6 Donut 4 Android 2.0 Eclair 5 Android 2.0.1 Eclair 6 Android 2.1 Eclair 7 Android 2.2 Froyo 8 Android 2.3 Ginger Bread 9 Android 2.3.3 Ginger Bread 10 Android 3.0 Honey Comb 11 Android 3.1 Honey Comb 12 Android 3,2 Honey Comb 13 Android 4.0 Ice Cream Sandwich 14 Android 4.0.3 Ice Cream Sandwich 15 Android 4.1 Jelly Bean 16 Android 4.2 Jelly Bean 17 Android 4.2 Jelly Bean 18 Android 4.4 KitKat 19 Android 4.4W KitKat 20 Android 5.0 Lollipop 21 Android 5.1 Lollipop 22 Android 6.0 Marshmallow 23 Android…

  • 사는이야기

    코로나-19 일일발생현황 (2022.1.1 ~ 2022.12.31)

    ☞☞☞ 2020년 1월 20일 ~ 2020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1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자료 보러가기 ☜☜☜ 날짜 일일확진자 일일사망자 누적확진자 누적사망자 일일검사수 백신접종수 전년 누적 635,079명 5,625명 – – 2022-01-01 3,825명 69명 638,904명 5,694명 190,737건 43,165명 2022-01-02 3,124명 36명 642,028명 5,730명 176,648건 20,272명 2022-01-03 3,019명 51명 645,047명 5,781명 289,770건 589,605명 2022-01-04 4,441명 57명 649,488명 5,838명 236,854건 431,670명 2022-01-05 4,118명 49명 653,606명 5,887명 222,803건 416,087명 2022-01-06 3,706명 45명 657,312명 5,932명 202,403건 470,586명 2022-01-07 3,502명 54명 660,814명 5,986명 213,747건 711,273명 2022-01-08 3,365명 51명 664,179명…

  • 모바일

    이야기모바일 웹으로 해지 신청하기

    지난 6월 이야기모바일에서 월 20GB를 쓸 수 있는 태블릿 요금제가 6개월 간 월 0원으로 가입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었다.그 때 가입하긴 했는데, 태블릿이 셀룰러용이 아니라서 별로 쓰지도 못했고, 6개월이 지나면 돈을 내야해서 6개월이 지난 때 해지하기로 했었다.당시 이벤트를 여러 번 하면서 날짜 구분이 헷갈린단고 6월에 가입한 사람은 모두 12월 말일까지 0원에 쓸 수 있게 해준다고 했던 글을 보고 12월 말에 해지하기로 일정을 잡아 놓았다.며칠 더 있다가 해지할까 하고 있는데 오늘 마침 클리앙에 웹으로 해지신청하는 방법이 올라왔다.낮에 회사에서 하려다가 카드 인증을 하려니 복잡해서 집에서 하려고 그냥 보류했다가 집에서 하려고 클리앙 글을 찾아보니 삭제된 것인지 구글 검색에는 나오는데 막상 클릭해서 클리앙으로 접속해보면 해당 페이지가 없다고 나오고, 이야기모바일 홈페이지에서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다.낮에…

  • 모바일

    삼성 갤럭시 시리즈 안드로이드 12 업그레이드 일정

    ’21년 11월 : Galaxy S21, S21+ S21 Ultra ’21년 12월 : Galaxy Z Fold3 5G, Z Flip3 5G, S20, S20+, S20 Ultra, Note20, Note20 Ultra, Z Fold2, Z Flip 5G ’22년 1월 : Galaxy Fold 5G, Z Flip, Note10, Note 10+, S20 FE, S10 5G, S10, S10+, S10e, A52s 5G, A42 5G, Quantum2 ’22년 2월 : Galaxy Tab S7, Tab S7+ ’22년 4월 : Galaxy A51 5G, Tab S7 FE, Tab S7 FE 5G, A90 5G, Tab S6, Tab S6 5G, Jump, A Quantum ’22년 5월 : Galaxy Tab S6 Lite, Tab Active3, A32, A31, A12, Buddy, Wide5, Tab A7(2020) ’22년 6월 : Galaxy Tab A7 Lite ’22년 7월 :…

  • 컴퓨터

    DDR5 DRAM 아직은 먼나라 이야기네

    뉴에그에서 딜 검색을 하다보니 32GB(16GB x 2) DRAM이 가격이 1200달러가 넘길래 뭔 램이 이리 비싸대? 하면서 자세히 보니 DDR5 램이다. 작년 말에 DDR4 램 32GB(16GB x 2) 키트가 100달러 근처일 때 2세트를 사서 64GB로 쓰고 있다.내가 사고 얼마 안되서 가격이 쭉 오르다가 요즘에는 많이 내려서 100달러 이하로 나오는 물건도 있을 정도인데, 같은 용량에 1000달러가 넘다니.가격이 10배나 나간다.물론 성능면에서는 훨씬 앞서겠지만, 게임도 안하고 영상 작업도 안하는 개인이 돈을 들이기에는 너무 부담스런 가격이다. 지금까지는 DDR5 램을 지원하는 CPU가 없었는데, 최근 출시한 인텔 신형 12세대 CPU인 엘더레이크부터 DDR5를 지원해서 DDR5 램을 지원하는 보드와 12세대 CPU를 구하면 DDR5 램도 쓸 수는 있는데, 비싸도 너무 비싸다.1000달러면 DDR4 램을 지원하는 고급형 보드에 웬만한 고급 성능의 DDR4…

  • 사는이야기

    순수 국내기술 개발 로켓 누리호 1차 시험발사

    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에 순수 국내기술로 만들어진 누리호 1차 시험발사가 있었다. 이번에 발사한 누리호는 3단 로켓으로 총 길이는 48m이다.1단 로켓은 75t의 추력을 내는 엔진 4개를 묶어서 총 300t의 추력을 내며, 2단 로켓은 75t의 추력을 내는 엔진 1개, 3단 로켓은 7t의 추력을 내는 엔진 1개로 구성되어있다. 정해진 계획은 아래와 같았다. 이번에 진행된 상황으로는, 2단 분리 및 3단 점화의 과정까지는 정해진 계획대로 진행이 됐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3단 엔진이 계획된 시간보다 46초 빨리 정지되면서 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는데 필요한 속도를 내지 못했고, 그 결과 위성 모사체를 궤도 안착시키지는 못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90%의 성공이고, 내년 5월에는 3단 로켓이 정상 작동하는 것뿐 아니라 그 이전 단계도 이번처럼 모두 안정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원인 분석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