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Mac OS X를 x86으로! (PearPC와 Vmware를 이용한 설치)
원문 링크 : Mac OS X를 x86으로! ( PearPC 와 Vmware 를 이용한 설치)
Mac OS X를 x86으로! (PearPC와 Vmware를 이용한 설치)
1. 준비물
인용: |
PearPC 프로그램 (PPC) PearPC 용 3GB 이미지 파일 (3gbImage.rar) Vmware 5.0.0 Apple OSX x86 DeveloperKit Install DVD 의 원본 이미지 파일 (AppleOSXx86DeveloperKitInstallDVD.iso) darwin x86 의 이미지 파일 (darwinx86-801.iso) x86 에 설치를 위한 패치 파일의 이미지 파일 (Stuff.iso) [옵션] Native 설치를 위한 여분의 하드디스크 |
2. PearPC 를 이용하여 원본 OSX x86 설치하기
인용: |
(PearPC 가 D:\PPC\PPC.EXE 에 설치되어있고 ISO 파일 3종 셋이 D:\ 에 위치한 상태에서 설명합니다) |
2.1 준비하기
인용: |
다운받은 PPC 폴더를 적당한 위치에 카피해주세요 ( ex> D:\PPC\ ) 3gbImage.rar 파일의 압축을 풀어 적당한 위치에 카피해주세요 ( ex> D:\Tiger.img ) Apple OSX x86 DeveloperKit Install DVD 의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카피해주세요 ( ex> D:\AppleOSXx86DeveloperKitInstallDVD.iso ) darwin x86 의 이미지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카피해주세요 ( ex> D:\darwinx86-801.iso ) x86 에 설치를 위한 패치 파일의 이미지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카피해주세요 ( ex> D:\Stuff.iso ) |
2.2 PPC.CFG 파일 손보기
인용: |
pci_ide0_slave_image = “D:\AppleOSXx86DeveloperKitInstallDVD.iso” -> 가지고 계신 DVD 이미지 파일의 경로로 수정해주세요 prom_driver_graphic = “D:\PPC\video.x” -> PPC 가 설치된 폴더의 video.x 파일의 경로 입니다 본인의 설치 상태에 맞게 수정해주세요 pci_ide0_master_image = “D:\Tiger.img” -> 3gbImage.rar 파일의 압축을 풀어서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경로입니다 본인의 설치 상태에 맞게 수정해주세요 |
2.3 PPC 를 실행하여 원본 OSX x86 설치하기
인용: |
PPC 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 시작 > 실행 > cmd + enter 로 command 모드로 들어가 PPC 가 설치된 경로로 이동합니다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은 부팅메뉴가 나옵니다. ![]() 이때 partition 2 of ‘cdrom0’ (DiscRecording 2.1.8f3/Apple_HFS)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OSX x86 DVD 로 부팅하겠다는 뜻 입니다 아래와 같이 애플로고가 나오면 일단 OSX x86 DVD 로의 부팅은 성공한것입니다 ![]() 이제 조금 오래 (?) 기다려주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합니다 ![]() 설치에 관한 설명은 따로 하지 않겠습니다. ![]() 위에 그림처럼 체크를 풀어주셨으면 Install 버튼을 눌러 인스톨을 시작합니다 자 인스톨이 다 끝날때까지 만화책이나 한권 보고 계세요~ 인스톨이 끝나면 자동으로 리부팅이되며 이때 PearPC 는 종료 됩니다 앞으로 할일은 Vmware 를 이용하여 하드 이미지에 설치 또는 Native 설치를 하는 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3. Vmware 를 이용하여 Darwinx86 설치하기
인용: |
이제 Vmware 를 이용하여 Darwinx86 을 설치 해보겠습니다 |
3.1 드라이브 이미지 만들기 또는 Native 로 설치하기 위한 하드 선택하기
인용: |
Vmware 를 실행하신후 File > New > Vitual Machine 을 선택해주세요 ![]() 다음을 누르시고 ![]() Select the Appropriate Configuration 이 나오면 Custom 을 선택해주시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 Select a Vitual Machine Format 이 나오면 New – Workstation 5 를 선택하신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이 나오면 Other 를 선택하신후 Version 에서도 Other 를 선택해주신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 처럼 나오면 Virtual machine name 에는 원하는 이름을 적으시면 되고 Location 은 그냥 두셔도 되고 아무 위치나 선택해주셔도 됩니다 ![]() 메모리 실정 부분인데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실분은 원하는 만큼 메모리를 늘려주시면 되고 Native 로 설치하실분은 별로 의미 없는 작업이니 그냥 256 메가로 두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 이부분은 네트웍에 관계된 부분인데 기본 설정값인 Use bridged networking 으로 설정 합니다 ![]() 스카시 어댑터의 방식을 설정해주는 셋팅인데 그냥 Buslogic 으로 두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 이부분에서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실분과 Native 로 설치하실분의 셋팅이 갈라집니다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는 법 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기 Create a new virtual disk 를 선택하신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 하드디스크 타잎을 IDE 로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 디스크 이미지의 용량 (기본 4.0) 을 선택하신후 Allocate all disk space now 를 선택해주시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 하드디스크 이미지가 생성될 경로를 선택해주시고 마침을 눌러주세요 – Native 로 설치하기 ![]() Native 로 설치하실분은 Create a new virtual disk 를 선택하시지 마시고 경고 문구가 나오고 하드디스크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메뉴가 나옵니다 ![]() Device 에서 하드디스크를 선택해주세요 ![]() 하드디스크 정보를 저장할 vmdk 파일이 생성될 위치를 선택해주셔야 하는데 절대 Native 로 설치할 하드디스크에는 생성하지 말아주세요 ![]() Virtual device node 를 선택해주셔야 하는데 위에 그림 처럼 Hard Disk 0 / CD-ROM 0 이라고 나와있는 위치가 아닌 다른곳으로 설정해주시고 마침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제 생성된 Virtual 머신을 가지고 Dawin 을 설치 합니다 ![]() 위 그림에서 CD-ROM 을 더블 클릭해서 ![]() darwinx86-801.iso 의 경로를 지정해준후 OK 를 눌러주세요 이후 초록색 플레이버튼을 눌러 Vmware 를 실행시켜줍니다 이때 Windows – 드라이브 준비되지 않음 이라는 경고 문구가 나오는데 그냥 무시하시고 취소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부팅시 Vmware 로고가 나오면 ESC 를 눌러 부팅메뉴에서 CD 드라이브 부팅을 선택해주세요 ![]() 부팅이 완료되면 The following devices are avaliable for installation: Darwin 을 어디에 설치할것인지 물어봅니다 For partitioning the disk, you have the following choices: * 는 처음에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할때는 안보이지만 Native 로 설치할때는 보입니다 2 번을 누르고엔터 Starting fdisk y 를 누르고 엔터 Enter ‘help’ for information 이 나오면 fdisk:*1> auto hfs + 엔터 The following partitions are avalilabe: * 여기서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시는 분은 위와 같은 에러를 보실수 있습니다 Native 로 설치시에는 The following partitions are avalilabe: 이제 다윈이 설치 됩니다 *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시는 분들은 엔터를 누르시고 재부팅을 하신후 (재부팅시에도 esc 키를 눌러 CD-Rom 으로 부팅 하셔야 합니다) For partitioning the disk, you have the following choices: The following partitions are avalilabe: 이제 Darwin 이 설치 됩니다 모든 파일들의 Uncompressing 이 끝나면 Updating mkext cache 여기까지 하시면 다시 Vmware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
4. 설치된 Darwinx86 에 추가적인 패치 및 OSX x86 파일로 교체하기
인용: |
이제는 CD-Rom 에 Stuff.iso 파일을 삽입(?) 시킨후 다시 녹색 플레이 버튼을 눌러 Vmware 를 실행해주세요 이때 또 아까와 같은 에러메세지가 나오는데 계속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다시 또 Vmware 로고 화면이 나오면 esc 키를 눌러 이제는 하드 디스크로 부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 부팅이 완료되면 Darwin/BSD (lemolemo.local) (console) Login: root + 엔터 라고 나옵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세요 lemolemo:~ root# cd ../.. + 엔터 (맨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 * 만약 여기서 mount_cd9660: No such file or directory 라는 에러가 나온다면 disk1s0 을 disk2s0 또는 disk3s0 식으로 변경해서 마운팅 해보세요 에러가 나오지 않으면 마운팅이 된것입니다 lemolemo:/ root# cd mnt + 엔터 (마운팅된 CD-Rom 에 접근) 이제 mnt 디렉토리의 파일을 임시로 생성한 stuff 디렉토리에 카피합니다 lemolemo:/mnt root# cp -RLv oah750d /stuff/ + 엔터 만약 설치하시는 분의 CPU 가 SSE3 를 지원하면 여기까지만 진행해주시면 되고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lemolemo:/mnt root# cp -RLv CoreGraphics /stuff/ + 엔터 (SSE3 패치) 까지 카피해주세요 *SSE3 지원하는 분은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모든 파일의 카피가 완료 되면 lemolemo:/mnt root# shutdown -h now + 엔터 명령으로 셧다운을 시켜줍니다 자자 여기까지 진행하셨으면 이제 최종 단계가 남았습니다 아까 하드디스크 이미지에 설치하실분과 Native 로 설치하실분 모두 Other.vmdk 파일을 생성하셨을 껍니다 아마 디스크이미지에 설치하시는 분은 그리고 Native 로 설치하시는분은 RW 60036480 FLAT “\\.\PhysicalDrive1” 0 대충 이런 부분이 있을껍니다 RW 6290928 FLAT “D:\Tiger.img” 0 여기서 D:\Tiger.img 는 아까 최초 PearPC 로 인스톨한 OSX x86 을 가지고 있는 이미지 파일입니다 수정이 완료 되었으면 다시 Vmware 로 가셔서 Edit vitual machine settings 를 클릭하신후 Hard Disk 선택하신후 Add 버튼을 눌러주세요 Add Hardware Wizard 가 실행되면 Hardware types: 에서 Hard Disk 를 선택하신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 Use an existing virtual disk 를 선택하신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Select an Existing Disk 라고 나오면 아까 복사하고 수정한 “사본 – Other.vmdk” 파일을 찾아서 선택한후 마침을 눌러주세요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하드디스크가 추가된걸 확인하시고 이제 CD-Rom 에서 Stuff.iso 파일 대신 darwinx86-801.iso 파일을 삽입(?) 시켜준후 녹색 플레이버튼을 눌러 Vmware 를 실행시켜 줍니다 또 에러가 나오면 무시하시고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여기서는 CD-Rom 으로 부팅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두면 알아서 하드디스크 (Darwin이 깔린) 로 부팅이 됩니다 Login: root 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이제 아래와 같이 따라해주세요 lemolemo:~ root# cd ../.. + 엔터 lemolemo:/ root# cd stuff + 엔터 lemolemo:/stuff root# cp -RLv oah750d /Volumes/Untitled/usr/libexec/oah + 엔터 (여기서 Untitled 는 아까 PearPC 에서 OSX x86 을 인스톨 하실때 설정 하드디스크 이름 입니다) *lemolemo:/stuff root# cp lemolemo:/stuff root# cp -RLv /Volumes/Untitled/System/Library/PrivateFrameworks/Bom.framework /System/Library/PrivateFrameworks + 엔터 lemolemo:/stuff root#: mount -t cd9660 /dev/disk2s0 /mnt + 엔터 (아까와 마찬가지로 에러가 뜨면 적절히 변경 해주세요) lemolemo:/stuff root# cp -RLv /mnt/System/Library/Extensions/ApplePS2Controller.kext /Volumes/Untitled/System/Library/Extensions + 엔터 (PS2 방식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위한 드라이버 입니다) lemolemo:/stuff root# ./ditto -rsrc /Volumes/Untitled / + 엔터 (이 작업은 시간이 좀 오래걸리는 작업입니다) lemolemo:/stuff root# cd .. + 엔터 자 이제 모든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디스크이미지에 설치하신분은 그냥 부팅하시면 되고 Native 로 설치하신분은 chain0 파일을 C:\ (부팅되는 윈도우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에 복사하신후 boot.ini 파일을 — 처럼 C:\chain0=”Mac OS X X86″ 이라는 줄만 한줄 추가해주면 멀티 부팅이 가능합니다 |
이상 허접하지만 OSX x86 설치 방법을 설명해드렸습니다
다음에는 이렇게 복잡한 방법이 아닌 부팅되는 DVD 를 만들어 Windows 처럼 부팅 DVD 로 부팅후 설치하는 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여기까지 lemolemo 군 이었습니다
